본문 바로가기

자유의새노래 디지털판970

냉소와 비관이 어리석은 너보다 나을 거라는 착각 입력 : 2020. 12. 17 | 디지털판  악은 친근한 얼굴을 내밀며 다가온다. 뿌리치지 못하게 만드는 모종의 미소는 쉬운 언어로 정의하지 못하게 만든다. 그런 악은 알지 못하는 시간에 갑자기 찾아온다. 정해진 시간도, 정해 놓을 새도 없이 다가와 판별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를 때까지 곁에서 견뎌낸다. 살아남은 악이 악으로 보이지 않는 단계에 이르면 악은 악이 아니게 된다. 친구의 형상을 빼닮은 괴물 악은 종국에 파멸을 낳도록 사주한다. 사주하기까지 긴 시간이 걸리기도 하고,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지기도 하듯이 시간은 중요하지 않음을 말해준다. 중요한 한 가지. 정해지지 않은 시간 속 모종의 미소로 다가오는 동안에 발견한 이 악을 뿌리칠 수 있는지의 용기다. 용기를 가지고 있는다면 악은 더 이상 친구의.. 2020. 12. 17. 20:38
[현실논단] 전 한국인 공동체를 움직였던 한국교회 입력 : 2020. 12. 16  08:17 | A30  일천구백칠년의 일이다. 평양 장대현교회에서 개최한 평안남도 겨울 남자 사경회에 참석한 신자들은 저녁 집회에서 성경 공부 후 통성으로 기도하자 청중들을 어떻게 통제할지 상의할 정도로 울음이 이어졌다. 새벽 2시까지 이어졌다고 하니 회개의 위력은 진중했다. 주목한 건 그 다음날이다. 거리에서 서로 죄를 고백했고 배상했다. 도둑맞은 물건이 돌아왔다. 빚이 청산됐다. 선교사 제임스 게일은 “외국인들뿐만 아니라 전 한국인 공동체를 움직”였다고 한다.장대현교회에 모인 신자들은 방언으로 기도했을까? 아니다. 방언으로 기도하지 않았다는 말이 아니라, 방언으로 기도했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다. 심금과 정서를 적신 통곡은 행동으로 옮겨갔고, 옮아가듯 반성과 .. 2020. 12. 16. 08:17
[일과속기록] 정지사본궁목 입력 : 2020. 12. 10 | A31  우리 뇌는 이미지로 기억하면 더 오래 기억한다고 한다. 시험이 다가오면 앞 글자만 따서 외운다고들 하는데 중학교 3학년 도덕 시간도 그랬다. 하나도 외워지질 않으니 운율로 따서 외우기로 했다. “정지사본궁목” “정지사본궁목” “정지사본궁목” 짝꿍이 무슨 의미냐고 물었다. “정서적, 지향적, 사회성, 본래성, 궁극성, 목적성.” 하루 동안 한 문제에 적을 단어 “정지사본궁목” “정지사본궁목” “정지사본궁목”을 주문처럼 외웠다.듣기 싫다며 귀 막았던 친구들도 나의 “정지사본궁목” 세례에 질색했고 손사래 쳤지만 종국엔 고맙다는 말로 돌아왔다. 내 정신없는 ‘정지사본궁목’ 덕분에 다 적었다나. 어처구니없어 친구들과 피식거렸고 도덕의 무엇이라 기억했던 정지사본궁목은 외.. 2020. 12. 10. 05:18
“10년 후엔 지금을 비웃을지 모릅니다”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0. 12. 8. 15:32
[음악 차트] 사막여우의 말(2020.07.20)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0. 12. 8. 15:26
[고마운 이름들②] 따뜻한 온기를 기억하며 떠올린 평범한 친구들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0. 12. 8. 14:57
[부음] 서울시장 박원순 별세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0. 12. 8. 14:53
[팬덤의 민낯①] 팬덤에 虛數가 많다는 일각의 주장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0. 12. 8. 14:33
[팬덤의 민낯①] “만들어진 것들의 개·돼지가 되고 싶지 않았습니다”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0. 12. 8. 14:33
잘못은 목사가, 사과는 시민단체가 입력 : 2020. 10. 19 | A11일부 불법 대면예배 향해서목사들 대신해 사죄하는데정작 목사들은 자기주장만잇따른 개신교회의 불법 대면예배가 발생하자 교회의 자정을 보이지 않은 기독교인의 사과가 줄이었다. 성명서로 사과문을 발표한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는 성락성결교회 담임목사 겸 지형은 대표회장을 통해 “위중한 상황에 한국 교회가 우리 이웃들과 함께 가슴 아파하며 감염 예방을 위해 더 모범적이고 선도적으로 움직이는 대안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통감한다”며 “교회 발 집단 감염에 대해 다시 한 번 더 국민 여러분께 깊이 머리 숙여 죄송한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2020. 8. 17).기독교윤리실천운동도 21일 호소했다. ‘코로나19의 폭발적 재확산 상황에서 한국 교회에 드리는 호소문’에서 “주요.. 2020. 12. 7. 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