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235

[일과속기록] 조선일보 100주년 입력 : 2020. 03. 05 | 수정 : 2020. 03. 12 | A7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디지털로 남겨 놓은 조선일보.  매년 조선일보가 창간 기념일을 맞이할 때면 100면을 발행한다. 신문의 절반이 ‘Advertorial section’이란 점은 흠이지만 대한민국 이 땅에서 신문 100주년은 희귀한, 문재인 대통령 표현으론 “그 자체로 하나의 역사”임은 부정하기 어렵다.  어제는 공교롭게도 “왜 조선일보를 보느냐”고 질문을 받았다. 이유는 많다. ①신문 디자인 ②기초 독해 ③지면 신문의 강점 ④신문이 가져다주는 재미 ⑤추억으로 남은 기억.①본지도 조선일보 지면신문 디자인을 카피한 요소가 많다. 활자부터가 조선일보명조체란 사실에서 알 듯이, 조선일보 신문 디자인은 일관성을 갖췄다. ②“독.. 2020. 3. 5. 19:00
[사설] 만국을 소성(笑聲)시킨 신천지 논리 입력 : 2020. 02. 24 | 디지털판 31번 확진자는 지난 7일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하자 오한(惡寒) 증세가 발생했다. 질병관리본부가 증상발현일로 판단한 그 날 이후 확진자는 두 차례 대구의 신천지 정기 모임에 참석했다. 1,100명이 코로나 영향을 받은 것이다. 병원은 코로나 검사를 권유했지만 확진자가 두 차례 거절했다. 질본도 중국 방문 경험이 없을뿐더러 확진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서 감염으로 판단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지적했다.문제는 여기부터다. 증상 발현 후에도 예식장과 신천지 모임에 참석했다. 병원에 입원한 상태에서 인후통과 고열 증상까지 보였지만 대구 이곳저곳 돌아다녔다. 질본은 31번 확진자를 2차 감염자일 가능성을 밝혔지만 대구지회 정기 모임에서 2차 감염된 사실은 부정할 수 없게.. 2020. 2. 24. 23:51
[일과속기록] 그늘진 당신의 얼굴 입력 : 2019. 09. 20 | 수정 : 2020. 02. 22 | A35오늘은 용기를 가지고 놀이터로 발걸음을 옮겼다. 만나면 어떤 말로 인사하며 뒤의 공백을 메울지 머릿속이 하얘졌다. 헤어진 지 보름이 되었다. 순간이었다. 분노란 감정도 불꽃 튀는 랑데부도 예상치 못한 한 순간에 이뤄지듯, 헤어짐도 순간에 벌어졌다. 갑작스레 터져버린 순간에 수습조차 못하고서 보름이란 시간을 지내야 했다.늘 그랬던 것처럼 내일도 찾아올 거라고 생각했다. 뚝 끊긴 발걸음이 이젠 허공에 떠돌아 귓가를 맴돈다. 오늘도 초인종에 반갑게 인사할 그 녀석이 언제쯤 찾아올까 아니, 이제 오지는 않을까. 상상만 했다. 어느새 한 편이 되어준 만남이 하루아침 사라져 버리니. 당혹감? 허망함? 자책도 해봤다. 물조차 주워 담을 수 .. 2020. 2. 22. 21:00
[사진으로 보는 내일] 다시 기억은 연결된다 입력 : 2020. 02. 20 | A35   반가운 이름의 그 길을 걸었다. 굽이굽이 한반도 등줄로 이어진 이 길은 과거에 걸었던 길만이 아니다. 새로 걸은 오늘의 그 길을 돌아보며 건물이 감춘 오래됨 그 자체를 엿보았다. ‘쓰레기 불법 투기 금지’ 팻말은 새것 같지만 출입문을 잃어버린 폐가는 추워선지 거미조차 구경하기 어려웠다. 사람들의 발길조차 끊겨버린 묵호항역 주위에선 찬바람만 불어왔다. 누군가는 살아왔을 폐가 속에 냉기에서 쓸쓸함이 살아났다. 온기 잃은 집 앞에서 조용히 사진을 찍는다. 과거를 상상한다. 누군가가 정겹게 살아왔을 온기의 그 집을. 마음대로 상상해보니 낯설지 않은 이 길이 외롭지 않았다. 누구를 만날지 어디에 발 디딜지 모를 이 길을 걷다보면 과거의 풍경을 마주한다. 부산으로 시작.. 2020. 2. 20. 22:53
철없는 어른도 성장은 합디다 입력 : 2020. 02. 09 | 수정 : 2020. 02. 11 | A6 ‘진짜’라는 말 백 번 천 번 할 필요 없다. 직접 해봤다고 말하면 된다. 기억과 행동 대충 섞어도 괜찮다. 남들은 해보지 않았을 일이니까. 그래도 괜찮다. 사람들은 내 행동엔 관심 없고, 오로지 그 시점에 무엇을 느꼈는지만을 궁금해 할 테니까. 일상의 행복처럼 누구든 공감하되 세계 평화처럼 동떨어진 언어여선 안 된다. 대충 가능성 있는 성장 서사 눙쳐놓고 해봤다는 추진력 스까 놓으면 인생 선배로서 조언이 탄생한다. 독자 여러분은 ‘성장 서사’ 이 단어를 기억해 두시라. 성장 서사를 마케팅 요소로 사용한 이들은 유독 ‘진짜’라는 뉘앙스를 즐긴다. 말 그대로 자기 말이 진짜라는 말이다. ‘진짜’라는 단어를 한병철은 판매 논리(타자.. 2020. 2. 11. 19:26
[에셀라 시론] 태초에 개발자가 doctype를 선언하시니라 입력 : 2020. 01. 22 | 수정 : 2020. 02. 05 | A6  드디어 신 죽음의 시대를 벗어나려는 걸까. 신의 명령에 주목한 시대를 신 죽음의 시대 이전이라 정의한다면. 신 명령이 어떠한 영향력도 발휘하지 못함을 인식한 시대를 신 죽음의 시대라 명명할 수 있다. 신 죽음의 시대는 주체성의 개념조차 존재할 수 없는 세계다. 세계라는 점에서 벗어날 수 있고 시대라는 점에서 언젠가는 마침표를 찍는다. 오랜 시간 슬픔과 절망 속에 신이 다시 살아나기를 희망했건만. 신의 부활은 요원하고 세상은 바쁘게도 신의 존재를 망각한 채 신 죽음을 가리킨다. 아직도 신이 살았는지 죽었는지 확인할 수 없는 시대에 살지만. 죽지 않았다고 잠정 결론을 내리고 신 죽음의 시대라는 3년의 터널을 벗어난다. 그래서 마련.. 2020. 1. 22. 20:38
[현실논단] 기억담론과 시간 정책 입력 : 2020. 01. 22 | 수정 : 2020. 02. 05 | A6  전체주의 시대가 끝이 났다. 드디어 종결된 전체주의 시대를 바라보며 새로운 시간 정책을 구사한다. ‘신(神) 죽음의 시대 이후의 담론(談論)’도 그렇다. 신 죽음의 시대에 구가하던 전체주의 담론의 끝을 선언하고  새로운 담론으로 새 시대를 맞이하자는 의미였다. 전체주의 시대 시간 정책은 해방을 기저에 둔 담론이었다. 해방을 위한 자유, 해방을 위한 신앙, 자유 투쟁도 이러한 연장선에 등장한다. 전체주의 시대의 자유란 해방 그 자체였고, 신자유주의 시간 정책과는 무관한 신 죽음의 시대 이전의 담론이었다. 전체주의 망령(亡靈)에서 벗어나려던 신 죽음의 시대는 어떤가. 비로소 해방을 위한 자유와 신앙, 자유 투쟁이란 현실을 깨닫고 .. 2020. 1. 22. 20:38
[자유시] 호언장담하던 당신들의 시대가 끝이 났다 外 입력 : 2020. 01. 01 | 수정 : 2020. 01. 02 | A1  ○豪言壯談하던 당신들의 時代가 끝이 났다. 영원히 집권할 줄 알았던 당신들 時代는 그리 길지 않은 殞命이었다. ○關係史의 놀라운 발견. 五旬節을 벗어나니 모든 日常이 정상으로 돌아오는구나. 지극히 당연한 삶이었거늘. ○憎惡와 忿怒 들끓던 2019年. 素望과 念願을 위해서라도 激怒의 질주를 끊고 省察하고 反省하는 時代 향하기를. 2020. 1. 2. 00:22
[사진으로 보는 내일] 파란 하늘 갈매기는 입력 : 2019. 12. 31 | A7 날아가는 새를 바라보며 자유를 꿈꾼 적이 많았다. 자유롭게 어디든지 향할 수 있음을 부러워했다. 동경하는 대상이 되면 동경하는 대상처럼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일말의 희망을 안으며 살아간다. 동경하는 대상을 향해 나도 저렇게 살 수 있을까. 그래서 져가는 노을이 서글펐다. 오늘이 끝난다는 감정이 무겁게만 느껴졌다. 누구에게나 동일한 파란 하늘이지만, 어떤 이에게는 회색 빛 하늘이고, 중천에 뜬 해를 바라보며 하품이 질 푸른 하늘이자 누구에겐 저녁 노을이 지는 보랏빛 하늘일 것이다. 갈매기를 바라보니 파란 하늘 아래 져가는 노을이 보였다. 그리고 어디든 향할 수 있는 지금에 이르자, 더는 새를 떠올리지 않게 되었다. 새를 잊어버리며 살아가다 이제야 날아가는 새를 .. 2019. 12. 31. 21:36
[사설] 지금도 綠林靑月 바라보며 눈물을 흘린다 입력 : 2019. 12. 01 | A7유튜브 알고리즘이라 불리는 시간 여행을 떠나다 보면 미처 생각지 못한 세계에 발을 딛곤 한다. 9년 전 ‘감옥살이 기도원’ 이름으로 방영한 지상파 프로그램에 지금에까지 격노하는 이유엔 현재도 한국교회 안에 만연한 범죄를 뉴스로 마주하기 때문이다. 범죄를 저지른 가해자 오 모 씨는 고독하게 숨진 채 발견됐고 시체조차 거두지 못해 무연고 사망자 처리되고 말았다. 경찰이 들이닥친 기도원 풍경도 속 시원했지만. 더욱 마음을 울컥하게 만든 장면은 “나가고 싶으세요?” 질문에 조금도 망설임 없이 앞치마를 버리고 점퍼 하나 챙겨들고서 그곳 파주 소망기도원을 빠져나올 때다. 피해자 할아버지는 긴 복도를 지나는 동안 단 한번 뒤 돌지 않았다고 한다. 한국교회는 끊임없이 교인을 죄인.. 2019. 12. 1. 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