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의새노래 디지털판1010

미운오리새끼의 힘없던 눈빛이 가장 정확했다고:「미운오리새끼」 입력 : 2020. 08. 13 | 수정 : 2020. 12. 12 | A29 가장 전두환적인 시대의암울함을 미소로 풍자한名作 영화, 미운오리새끼미운오리새끼 곽경태 | 96분 | 15세+ | 2012 부담 없는 군대 영화. 군대 영화하면 윤종빈 감독의 ‘용서받지 못한 자’ 연상호 감독의 애니메이션 ‘창’을 떠올리며 불쾌한 감정부터 먼저 떠오른다. 하지만 이 영화는 다르다. 우연히 봤고, 재밌어서 웃었다. 끝까지 보게 된다.이 흡입력은 어디에서 시작하는 걸까. 아무리 봐도 군대의 진풍경을 이렇게 묘사할 수 있는 영화가 전무후무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축 정명채 대장님’ 쓰인 케이크 앞에서 촛불을 끄고. 어디서 난 건지 알 수 없는 칼날을 꺼낼 때의 카메라 구도는 감탄을 자아낸다. 철저히 구조적인 문제, .. 2020. 8. 13. 19:14
물음: 드라마가 나의 삶을 바꿀 수 있을까? :「라스트 세션」 입력 : 2020. 08. 11 | 수정 : 2020. 08. 13 | A29   라스트 세션 마크 세인트 저메인 극본, 오경택 연출 | 90분 | 2020 독일을 상대로 영국과 프랑스가 선전포고한 1939년 9월 3일 프로이트가 루이스를 기다리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기독교 변증가로 알려진 문학가 C. S. 루이스가 펼치는 90분의 대화. 문학을 꿴 신앙─고통─성(性)─죽음─삶 그리고 신(神)을 논한다.세계를 바라보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이 한 번쯤 물어봤을 신의 존재 앞에서 하고 싶었을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는다. 신이 살아 있다면 왜 인간의 고통에 귀 기울이지 않는가. 예수는 신이 아닌 정신병자 아닌가. 그럼에도 보편적 도덕률은 존재하지 않는가. 들키면 그만일 예수.. 2020. 8. 13. 19:14
[단독] 지금껏 개발된 퍼피레드M… 기존 퍼피레드와 동일했다 입력 : 2020. 08. 09 | 수정 : 2020. 08. 09 | 디지털판 퍼피레드 1차 오프라인 테스트, 소셜미디어 라이브로 송출운영진의 주도로 회원 10여명 참석해 시연·의견·계획 논의죄송했다지만 정확한 기존 퍼피레드 구현 성공했다는 평가강한 개발 의지 드러낸 대표 입장… “회원들 감성이 중요”  앱 중앙의 퍼피레드 섬을 상징하는 UI를 누르자 미니파크로 접속할 수 있었다. 이 날 퍼피레드 회원 십여명이 참석한 자리에서 유저 출신이자 현 개발진으로 참여하는 GM지니가 퍼피레드M 접속을 선보이자 회원들은 침묵 속에서 접속 장면을 지켜봤다(2020. 8. 8). 신사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퍼피레드 1차 테스트가 진행됐다. 퍼피레드 에트기억연구소 주안 신분으로 참석한 본지 주필도 테스트에 참여해 퍼.. 2020. 8. 9. 17:09
[단독] 퍼피레드 테스트를 시연하자 끊임없던 설렌 분위기 입력 : 2020. 08. 09 | 디지털판  간단한 툴 설명과 함께 스마트폰을 보이자 긴장과 설렘이 뒤섞인 분위기가 형성됐다. 신사동에 위치한 카페에서 가진 퍼피레드 1차 테스트에 퍼피레드 회원과 개발진 등 십여명이 모여 퍼피레드 개발을 논의하는 자리에서였다(2020. 8. 8).퍼피레드를 개발하는 주식회사 소울핑거(대표 이용수) 주관으로 열린 이 날 행사에서 개발 중인 퍼피레드를 테스트했고 개발에 대한 회원들 입장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날 참석한 회원들은 대체로 긍정적 반응으로 화답했다. 부족한 부분과 기능상 질문을 제한 없이 하면서 2시간가량 행사가 이어졌다. 회원들은 코로나로 인해 행사를 시작하기 전 발열체크와 개인정보동의서를 작성했고 퍼피레드 테스트는 퍼피레드 유저 출신이자 현 개발진인 G.. 2020. 8. 9. 17:09
[15일의 기록] 1화: “퍼피레드 서버 종료” 입력 : 2020. 08. 06 | 디지털판 2020. 8. 6. 22:33
信仰人에서, 自然人으로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0. 8. 4. 21:29
[음악 차트] 희망의 증거: 아이의 이름(2019.06.01)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0. 8. 4. 21:17
[예고편] 퍼피레드 서버 종료, 15일의 기록: 2016년 8월 19일 오후에 뵙겠습니다 입력 : 2020. 07. 29 | 디지털판 2020. 7. 29. 19:12
[알립니다] 태그(tag) 제도를 전면 개편합니다 자유의새노래 디지털판은 모든 게시물에 태그를 사용해 왔습니다. 특정한 사건이나 기획 기사의 경우 태그를 적극 사용해왔지만 검색과 관련없는 단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여 태그가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습니다. 본지는 하단에 위치해 별 의미를 가지지 않았던 태그를 상단으로 끌어올려 제목 위에 배치함으로써 해당 기사와 관련성이 있는 단어를 태그로 설정해 검색에 용이하도록 내부 CSS를 변경하였습니다. 따라서 오늘 1,206개의 기사를 전수조사하여 모든 태그를 정리했습니다. 태그는 자료 검색과 연관 기사를 찾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전면 개편하고자 합니다. 태그는 이럴 때 사용합니다. 1)같은 사건을 보도 및 비평할 경우. 2)연계기사의 경우. 3)기획기사의 경우. 4)한 게시물에 5개 이상을 사용하지 않.. 2020. 7. 23. 21:24
개신교회는 하고 싶은 말만 한다 입력 : 2020. 07. 22 | A34 한국 개신교 대중 동원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알만 한 교회 대형 집회에 수많은 교인들이 몰려들자 한 교인 분이 이렇게 말했다. “저 분들 다 지역 교회에서 모인 분들입니다.” 끝내 차별금지법 반대 청원은 10만 명을 넘어섰고(2020. 7. 7), 지난 8일 청원을 시작한 정부의 교회 소모임 행사 금지에 금지 청원만 오늘로써 42만 명을 넘어섰다. 수많은 목소리의 청원에도 불구하고 교회 내에서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무엇이 대안인지 고민도 고심도 없는 상황이다.성서는 동성애를 과학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하지 못한다. 시대적 배경이 동성애조차 연구되지 않은 시절의 기록이기 때문이다. 동성애 연구는 시작된 지 100년 남짓, 바울 사도가 살았던 2,00.. 2020. 7. 22. 1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