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235 [에셀라 시론] 다시 정의를 생각한다 10년 전 화두는 정의였다. 경건한 삶 중심으로 신앙적 삶의 태도를 정의로 본 것이다. 그 시대는 현실세계보다 내면세계를 강조하던 그런 시기였다. 생각처럼 이뤄지지 않는 신앙의 삶은 정의를 실현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도록 높은 도덕심을 요구했다. 높은 도덕심은 ‘구별된 삶’이란 근거로 “아닌 것을 아니”라 말할 용기를 안겼지만 돌아온 것은 사회와의 완벽한 분리였다. 교회와 사회의 분리는 단어로도 명확히 드러났다. ‘세상’과 ‘교회’가 아이히만의 ‘언어규칙’처럼 정의가 아닐 수 있음을 은폐하는 도구로 사용된 것이다. 머리는 정의를 추구해야 하지만, 몸은 정의롭지 않으니 괴로움의 연속이었다. 따라서 세속 정권은 자아를 포함한 신앙 세계를 파괴하는 악마적 존재로 보았고 허상의 적을 낳았다. 보이지 않는 적이 .. 2022. 5. 19. 20:33 [자유시] ‘한 손엔 아이서퍼 한 발은 교보문고.’ 外 ○‘한 손엔 아이서퍼 한 발은 교보문고.’ 뛰어다니는 회사 위에 날아다니는 MZ 세대 있다. ○시간의 테두리 바깥에서 여름이에게 달려가는 지금. 살아가는 지금 이 시간이 서글픕니다. ○이름도 되찾고 나 자신도 되찾고, 그래서 역겨운 과거의 아이돌. 우리도 그때가 부끄럽다. 2022. 5. 3. 11:03 [시대성의 창] 예수가 다시는 부활하지 않았어도 브라우저가 오디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향린교회가 재건축조합으로부터 예배당 침탈을 당했을 때의 일이다. 교인들은 향린교회 바깥 어두운 골목길에서 초라해 보이는 고난주간을 보내야 했다. 찬송가 147장 ‘거기 너 있었는가’ 힘없이 부르는 침참속 교인들 풍경이 낯설었다. 낯선 것은 예배뿐만이 아니었다. 기도하는 신자 분 메시지가 가슴에 와 닿았다. “십자가도 없이 싸늘하게 식은 저 예배당 안에서 홀로 눈물의 기도를 드리고” 있을 “그 예수를 우리가 구원해야 할 때”라고 규명한 그분은 예수의 힘없는 무력한 광경을 목도했다.기독교인에게 신의 전능성은 ‘무소부재’라는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무엇이든 구해낼 수 있는, 무엇이든 가능한, 미래의 일들까지도 감찰하고 영향력을 발휘하는. 그러.. 2022. 4. 19. 07:39 [사설] “먼저 어른이 되어야겠다”는 行間 속에서 한국 사회의 문법을 읽기 위해 되짚은 천안함 피격 사건과 세월호 침몰 사고는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맞닥뜨리기 어려운 미숙함의 연속이었다. 피하려 해도 피할 수 없고, 도망치고 싶어도 도망칠 수 없는 아픔 속에서 천안함 12주기와 세월호 8주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북한에 의한 천안함 피격은 전 세계 얼마 남지 않은 분단국가 대한민국 특수한 상황에서 발생했다. 그럼에도 국가를 위해 희생한 마흔여섯 용사 이후의 삶을 살아가는 생존장병 쉰여덟 명 용사의 삶은 녹록치 않았다. ‘미래의 피해자들은 이겼다’를 집필한 고려대 김승섭 교수는 천안함 피격 사건 생존장병의 아픔을 되짚는 과정에서 군 내부가 낸 상처에 주목했다. 적이 조롱하는 일보다 내부의 사람들이 생존장병을 돌봐주지 않는 배제하고 차별하는 과정에.. 2022. 4. 16. 03:00 [사설] 무책임한 勞動 환경 누구 손으로 끝낼 것인가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2. 4. 14. 03:00 [사설] 윤석열 대통령 당선… 20세기 근대와 작별할 때 윤석열 후보가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당선됐다.(2022.03.10) 지난 대선보다 0.1%p 적은 전국 선거인 77.1%(3천400만표)가 투표에 참여했다. 윤석열 후보는 48.5% 이재명은 47.8%로 그 어떤 선거에서도 유례없는 접전이다. 전 국민이 이재명과 윤석열로 갈라진 선거 결과처럼 대선 과정은 서로를 헐뜯는데 혈안이었다. 7시간 통화 내역이 공개되는 상황까지 치닫자 비호감 선거라는 말까지 나올 지경이었다. 서로의 혀를 끌어 잡고 싸운 데에는 미래를 대비하려는 담론(談論)이 부재한 탓이다. 후보들 중 어느 누구 하나라도 인구 문제에 천작한 일이 있는가. 대학구조 조정은 고사하고 연금개혁과 최저임금, 저출생, 부동산 같은 풀기 어려운 고난이도 숙제에 관해서는 외면한 채 서로.. 2022. 3. 10. 07:15 [현실논단] 최문정, 널 마감하고서 학부 4학년 때 일이다. 뒤늦게 확인한 페이스북 메시지엔 “학보사 문제로 뵐 수 있을까요?” 묻는 선배의 한 마디만 있었다. 일면식도 없는 선배라 지인 선배에게 이미 전달 받고 확인한 부탁이었다. 정중히 거절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학보사는 생활관장과 정치적 싸움을 이어가던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때도 신문은 정치적인 매체이자 일상과 동떨어진 종이일 뿐이었다. 정치적인 싸움은 165호에서 출발한다. 침신대학보는 지면신문 뿐 아니라 홈페이지 ‘학보사’ 카테고리 속 PDF를 통해서도 학교 안 소식을 전달한다. 유독 165호가 올라오지 않았다. 보통 한 학기에 한 두 호 정도는 발행해 왔거늘. 편집국장에게 물었다. 홈페이지에 올릴 수 없다는 이유로 한글 파일을 건네 받았다.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어영부영 .. 2022. 3. 9. 22:16 [사설] 기막혀서 할 말이 없다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2. 3. 1. 23:04 [ㅁㅅㅎ] 세모 입 비공개 기사입니다. 2022. 3. 1. 23:00 [ㅁㅅㅎ] 네 속삭임을 담는다 시린 손 빨갛게 얼룩진 냉기를 거두며한 땀 한 장 져가는 노을을 화면에 담는다가볍지 않은 발걸음처럼네 차가운 바람도 가볍지 않았을 거야 여까지 오느라 고생한 우리 혜이 시린 빨갛게 타들어갈 손가락 맞잡고언제나 어디서든 같이 있자 네 속삭임을 담는다 구겨진 종이라 다시 쓰려 했다. 컬러 프린트를 지나치는 찰나의 순간에 벌어진 구겨짐 그대로 두었다. 인생도 다시 살아갈 기회가 주어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어쩔 수 없는 고난과 역경에 피하고 싶은 순간이 부지기수(不知其數)이겠지만 피할 수 없으므로 나라는 고유한 특성도 여전한 게 아닐까 생각했다. 풋풋한 사랑의 순간에 둘이서 오른 남한산성, 문정과 잠실을 목전(目前)에 두고 사랑을 고백한다. 고난의 순간에도 끊어지지 않을 그 사랑. 2022. 1. 1. 23:40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