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현실논단

[현실논단] “변화를 기다리던 때는 이제 지나갔기에”

자유의새노래 2024. 9. 7. 20:00

문학광장 글틴.
문학광장 글틴.

 

심심하면 문학광장 글틴에서 청소년 작가들이 쓴 수필을 읽곤 한다. 청소년 작가의 글에서도 완성도 좋은 글을 발견할 때면 즐거움이 배가된다. 글틴에는 재미난 글들이 많다. 오탈자 많거나 줄바꿈 하나 없이 아웃사이더 같은 글에서부터 ‘와 이건 진짜다’ 싶은 정도로 폼 들인 글에 이르기까지. 자의식을 강하게 느낀 나머지 소설 같은 수필을 써도 사랑스럽다. 웹사이트가 괜찮은 디자인으로 구성됐기 때문만은 아니다. 야들야들 밥 한 톨 같은 음절의 모음이 귀엽기도 하고 꽤 젊은 작가의 포스가 느껴지기도 했다.


한때 매주 목요일 저녁이면 문정동 스타벅스에서 청소년 작가들의 글을 정독했다. 한 단어, 한 문장도 놓치지 않았다. 때로는 밑줄 긋기도 했고 내 생각을 덧붙이기도 했다. 그러나 잘 쓰고, 못 쓰고를 평가하지는 않았다. 날 것 그대로의 수필을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독자의 시선에서 가장 꼽을만한 특징이라면 청소년 작가의 작품들은 찰나의 순간이 많다는 점이다. 소녀, 소년의 시간이 찰나의 순간이기 때문일까. 그 짧은 순간을 포착해 글로 풀어내는 능력이 뛰어난 작품을 발견할 때면 감탄해 마지않았다.


찰나의 순간마저 절망의 그늘로 해석하는 작가에게는 연민의 마음이 들었다. 심지어 나도 그 십자가 조금이라도 들어주고 싶은 심정이 들 정도였다. 하지만 십자가는 각자가 져야 하므로 철저히 작가의 짐이어야 했다. 후회와 한탄, 바뀌지 않는 입시제도와 사회 구조 속에서 질식하는 청소년 작가들…. 애석하게도 이들은 무력감을 느끼고 있었다. 글은 마지막으로 표현하는 그들만의 다잉 메시지 같았다. ‘다신 글 올리지 않겠지’ 싶으면서도 또 올라온 동명 작가의 글을 보면서 안도할 때도 있었다.


나는 청소년 시기에 이런 절망적인 글조차 써본 일이 없다. 일상에서 경험한 글도 쓸법한데도 말이다. 신앙에 경도된 나머지 보수적 이념과 교리에 고취된 프로파간다 논설이나 쓴 게 전부였다. 그 시절의 글을 읽으면 무뚝뚝하고 딱딱하기만 한 소년을 만나는 이유다. 살아 있음을 느낄 수 없는 글. 차갑다 못해 얼음장 같은 오탈자 하나 없는 문맥에선 ‘진리’를 다루고 있으나 씨뻘건 신념으로 읽히는 건 나뿐만이 아니었다. 과거사를 들여다볼 때마다 무뚝뚝한 소년을 만나거든 ‘꼭 글을 어렵게 써야만 했느냐’고 묻곤 한다.

 

 

날 구원하리라 믿었던
고유한 언어의 성벽이
무너져 사라진다 해도
파도에 부서진다 해도
쓰고 읽으며 돌아본다

 


남들과 똑같은 환경, 똑같은 교복, 똑같은 과목을 공부하며 살았기 때문일지 모르겠다. 병적으로 “남들과는 다르다”를 보여주고 싶은 까닭 말이다. 신앙은 독창적이고 나만의 고유한 언어였으니까. 그 시절 교회에서는 묵상의 시간을 가지곤 했다. 나는 나의 고유한 언어로 성경을 해설했다. 토를 다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나의 독창적 해설에 감탄해 마지않았다. 하지만 누군가가 시비를 걸지 않기를 바랬다. 고유한 언어는 나만의 세계에서 갇혀 지내는 탄탄한 성벽이 되었다. 나를 나 되게 만드는 언어가 역설적으로 나를 가두는 틀이 되고 만 것이다. 그 틀이 나를 구원하리라고 믿었다.


청소년 시기의 나는 이런 용기를 내지 못했다. 변화가 두려웠기 때문이다. 세상이 요동치는 것 같았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낭떠러지로 떨어지는 것만 같았다. 지푸라기라도 붙잡아야 했다. 단락으로 꾹꾹 눌러 담아 쓴 문장들은 곧 부서졌고 나는 저 멀리 폭풍우에 밀려 거센 파도에 휩쓸리고 말았다. 문학광장의 청소년 작가들은 언제나 자신의 글을 모두에게 공개한다. 언제나 피드백을 받는다. 성실하게 답장까지 달아주는 작가도 있다. 청소년 작가들이 쓴 글도 머잖아 부서질 문장일지 모른다. 나의 고유한 언어는 나를 가두었지만 오늘의 청소년 작가는 그 틀을 부수고 있다. 그래서 나는 튼튼하지 않은 문장을 꼼꼼히 읽는다. 나는 문학광장 글틴에서 고유한 언어를 구사하는 소녀, 소년들을 만난다. 용기를 가지고 변하려 몸부림친 흔적을 느낀다.


그래도 청소년 작가의 글이냐고 묻는다면 이제는 성인이 되었을 작가 해나리의 글로 답을 대신한다. “나는 한낱 인간일 뿐이지만 어차피 신은 존재하지 않아서, 존재하지 않는 신이 상황을 바꿔주기를 기대하지 않는다. 내가 변하는 방법밖에는 없었다. 이게 최선의 선택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지금 상황으로서는 최선의 선택에 가장 가까웠기에.”(변화를 기다리던 때는 이제 지나갔기에, 2021.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