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현실논단

[현실논단] 9월에 떠난 두 목회자를 뒤로하고

자유의새노래 2022. 9. 17. 23:40

 

옥한흠 목사의 설교를 다시 접한 건 성인이 되고 나서다. 그날 옥한흠은 설교 단상에서 속상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어렵게 유흥가 종사자들을 전도해 왔건만 교회에 남은 사람이 아무도 없음을 들추었다. 비참한 편지를 남기고 떠난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누가15,11-32 본문을 인용해 아버지 재산을 미리 받아 탕진한 둘째 아들을 싸늘히 바라보는 첫째 아들이 바로 우리 자신이라는 호통이 이어졌다. “우리의 모습은 탕자가 돌아왔다고 춤을 추는 아버지의 이미지가 아니에요. 사랑의교회, 천만에요. 우리는 바리새인의 이미지를 갖고 있어요. 우리는요. 큰 형의 이미지를 갖고 있어요.”(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기쁨, 1999.10.03)

옥 목사가 숨 거두었을 때만 해도 고등학생이었다. ‘제자훈련에 미쳤다’는 대외적 평가는 상징적으로만 비쳤다. 설교를 들어봐도 가슴에 와 닿는 게 없었고 귀에 들리지도 않았다. 오히려 같은 본문으로 설교한 조용기 목사의 설교가 흥미로웠다. 조 목사는 오히려 교인들을 첫째 아들보다 둘째 아들로 비유한다. 인류는 둘째 아들이므로 하나님을 떠나 있으니 다시 하나님께 돌아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 것이다. “예수를 믿고 구원 받지 않은 사람은 하나님께서 잃어버린 사람이요 그도 길 잃어버린 사람이요 그는 영적으로 죽은 사람이요 버림받은 사람인 것입니다. 길을 잃고 죽은 사람으로서 사는 것이 세상 사람인 것입니다.”(잃어버렸다가 찾았으며 죽었다가 살아남, 2008.06.22)

 

 

소돔과 고모라 도시는
성욕에 망하지 않았다
가난한 자 손 놔 버린
교만과 역겨움이 원인
롯의 아내처럼 교회를
보다가 발걸음 멈춘다

 


언제나 조용기 목사의 해석이 익숙했다. 신앙은 하나님과 자신과의 일대일 관계로만 보았기 때문이다. 일대일 신앙은 중요한 사실을 간과했다. 결코 사람은 진공 상태에서 홀로 설 수 없는 현실이다. 이 세상에 나 혼자만 산다면 철학과 신학, 교리도 필요 없었을 것이다. 내가 무엇을 하든 그 일은 윤리적일 것이다. 그러나 윤리와 비(非) 윤리, 옳음과 옳지 않음을 구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다른 이들과 더불어 살기 위함이 아닌가. 나와 너, 세계라는 현실의 3요소를 깨달은 존재가 바로 어른이며 인간이면 어른으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겪을 수밖에 없다. 아이로 남기를 바랬던 내가, 언제나 조 목사 설교를 즐겁게 들으며 나의 세계를 구축해 나갔을 따름이다. 그 세계에는 이웃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오로지 내 말에 동의할 또 다른 나만이 존재했다. 11년 동안 이어진 이기적 체제는 현실에 이르러서야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다. 11년 체제의 종말이 갑작스레 다가온 것이다.

현실을 마주하는 작업은 고통 그 자체였다. 회피라는 방법으로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을 피하는 이들도 보았다. 나조차 회피하지 않았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다. 문제의 문제로 가로막힌 한국의 상황을 누구보다 경험하고 싶지 않았다. 그러나 사람이기 때문에 한국이 처한 상황을 피할 수 없고, 외면할 수도 없다. 누군가의 아픔은 곧 나의 고통으로 연결되기에 사회라는 광의의 존재가 각자의 분담된 공동의 짐으로 신음한다. 구약성경 선지서를 보면 현실의 3요소가 등장한다. 고통을 당하는 나. 신음하는 이스라엘, 그리고 하느님이 심판을 내리려는 세계가 드러난다. 원망스럽게도 신은 평범하게 살던 선지자에게 자신의 말씀을 전달한다. 이방을 섬기는 야훼의 질투를 심판과 진노라는 결과로 내보일 것을 경고하는 것이다. 나라면 무어라 답했을까. 요나처럼 스페인으로 도망갔을까, 예레미야처럼 울었을까.

다섯 편 설교를 들으며 고등학생 시절 옥한흠과 성인이 되고 난 이후의 옥한흠이 달리 보였다. 문제에 문제로 둘러싼 헬조선의 벽 앞에서 다섯 시간이 짧게만 느껴졌다. 설교를 곱씹으며 어린 시절 귀에 들려오지 않은 이유를 깨달았다. 어른들의 사정을 알지 못한 소년 시절에는 호통이 마음에 와 닿지 않은 것이다. 어른이 되어가는 건 정말 아픈 일이니까. 말 그대로 아프기만 하니까. 같은 본문에서 아버지 유산을 미리 당겨 받아 방탕하게 산 둘째 아들이 우리들 자신이라던 조용기 목사와 결이 달랐다. 관점의 차이라고 생각했다. 옥한흠의 시점은 어른이 된 이후의 자신에게 머물렀다. 따라서 설교가 쓰게만 느껴질 수밖에 없다. 바울의 표현처럼 ‘단단한 음식’(1고린3,2)을 먹을 만한 어른이 떠올랐다. 20대는 애가 아니다. 배워가는 나이라지만 숨고만 싶지 않다. 사실상 무신론자로 전향한 나에게, 타락한 교회를 외면한 내게 무어라 말할까.